우리나라 남녀별 연령별 인구구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남녀 인구 현황입니다
총인구가 점점 높아지다가 2030년쯤부터 낮아질 전망이네요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입니다
점점 고령화가 되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남녀별 인구입니다
연령별 인구입니다
의미분석
[지표설명]
■ 인구구조의 개념
° 인구구조는 전체인구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의 분포상황을 살펴본 것임.
■ 인구구조 의의 및 활용도
° 인구구조는 인구규모와 함께 국가의 기본정책을 수립하는데 가장 근원적인 기초자료로서, 인구규모가 인구의 양적인 측면을 말하는데 반하여 인구구조는 인구의 질적인 측면을 나타냄.
° 인구구조는 성, 연령별, 지역 및 사회, 경제적 분포상황을 나타내므로, 사회,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예측하는데 활용됨.
■ 수치해석방법
° 남녀별 인구구조
- 총인구, 남자인구, 여자인구의 단위는 천 명임.
- 성비는 여자 백명당 남자수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성비가 100을 초과하면 남자인구가 여자인구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성비가 100 미만이면 여자인구가 남자인구보다 많은 것을 의미함.
° 연령별 인구구조
- 0~14세 인구(유소년인구)구성비 = 0~14세 인구/총인구 *100
- 15~64세 인구(생산가능인구)구성비 = 15~64세 인구/총인구 *100
- 65세이상 인구(고령인구)구성비 = 65세 이상 인구/총인구 *100
[지표해석]
■ 인구구조 변동 추세
° 남녀별 인구구조
- 2017년 총인구 5,145만명중 남자는 2,579만명, 여자는 2,566만명이며, 총인구 성비는 안정화된 출생성비와 상대적으로 높은 여자의 기대수명 등으로 인해 점차 낮아져 2035년 100.2, 2055년 99.7까지 낮아진 후 남녀 기대수명 격차 감소로 인해 다소 상승할 전망임.
° 연령별 인구구조
- 저출산의 영향으로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전망임.
- 특히, 인구의 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총인구중 65세 이상 비율은 1970년 3.1%→ 2008년 10.2%→ 2026년 21.1%→ 2037년 30.5%→ 2058년 40.2%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따라 2016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5.6명당 고령인구(65세 이상) 1명을 부양하지만, 2025년에는 3.4명당 고령인구 1명, 2045년 1.5명당 고령인구 1명, 2065년 1.1명당 고령인구 1명을 부양해야 될 것으로 보임.
유의점
관련용어
유소년인구 :
생산가능인구 :
고령인구 :
노령화지수 :
유소년부양비 :
노년부양비 :
부양비 :
작성방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군 사망사고 현황 (1) | 2018.05.22 |
---|---|
우리나라 지역별 인구 및 지역밀도 (0) | 2018.05.20 |
자동차 책임종합보험 (0) | 2018.05.19 |
정확한 영어 번역기 (0) | 2018.05.19 |
2018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일정 (0) | 2018.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