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역별 인구 및 지역밀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별 인구 현황입니다
경기가 가장 인구가 많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많네요.
제주, 세종이 가장 작고 다른 지역은 엇 비슷합니다
지역별 인구밀도입니다
서울이 인구밀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부산이 높네요.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를 표로 나타내보았습니다.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의 개념
° 지역별 인구란 각 지역별로 거주하는 인구를 의미하며 지역별 인구밀도란 각 지역의 인구를 그 지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1㎢당 거주하는 인구가 몇 명인지를 의미함.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와 국토교통부 지적통계에 근거한 지표로 장·단기 국가 및 지역 발전 계획수립과 향후 인구와 관련된 각종 경제·사회지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짐.
■ 지역별 수치해석방법
° 지역별 인구 통계자료의 단위는 천 명이며, 2017년 서울시의 인구는 약 978만 명임.
- 인구밀도 통계자료의 단위는 명/㎢으로 2017년 서울시에는 1㎢당 16,154명이 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지표해석]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추세
° 인구
- 2010년 이후 서울, 부산, 대구의 인구는 감소추세에 있음.
이는 해당지역의 자연증가(=출생아 - 사망자)보다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유출이 더 많기 때문임.
- 2017년 수도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49.6%에 해당하는 2,551만 명으로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었음.
° 인구밀도
- 2010년 이후 서울, 부산, 대구의 인구밀도는 감소추세이며, 세종, 경기, 충북, 충남, 경남, 제주 등의 인구밀도는 증가추세임.
- 수도권으로의 지속적인 인구유입으로 수도권의 인구밀도는 증가추세이며, 2010년 대비 2017년 인구밀도는 82명/㎢ 증가함.
- 2017년 기준 시도별 인구밀도를 보면 서울(16,154명/㎢), 부산(4,454명/㎢) 등은 높고, 강원(90명/㎢), 경북(141명/㎢) 등은 낮음
■ 세계 주요국가 인구밀도
° 2017년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513명으로 세계 23위 수준임.
국가명 | 인구밀도(명/㎢) | 도시명 | 인구밀도(명/㎢) |
---|---|---|---|
한국 | 513 | 이탈리아 | 202 |
인도 | 450 | 중국 | 150 |
일본 | 350 | 프랑스 | 119 |
영국 | 274 | 미국 | 35 |
독일 | 236 |
|
|
출처: UN,「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7 Revision」, 2017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전국편 : 2015-2065, 2016 주) 한국은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기준임 |
유의점
관련용어
지역면적 :
인구밀도(명/㎢) :
작성방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와 블로그에 애드센스 광고를 넣어보자! (0) | 2018.05.24 |
---|---|
우리나라 군 사망사고 현황 (1) | 2018.05.22 |
우리나라 남녀별 연령별 인구구조 (0) | 2018.05.20 |
자동차 책임종합보험 (0) | 2018.05.19 |
정확한 영어 번역기 (0) | 201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