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유충렬전(劉忠烈傳)(작자 미상)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국문 소설, 영웅 소설, 군담 소설, 적강 소설

성격

  • 전기적, 비현실적, 영웅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중국 명나라 시대, 명나라 조정과 중국 대륙

주제

  • 유충렬의 고난과 영웅적 행적

특징

  • 영웅 소설의 전형적 요소를 갖춤
  • 천상계와 지상계로 이원적 공간이 설정됨
  • 유교 사상, 불교 사상, 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의의

  • 영웅 소설의 유형적 구조를 잘 보여 주는 대표적인 작품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작자 미상, '소대성전(蘇大成傳)'


영웅의 기상을 타고난 소대성이 일찍 부모를 여의고 고난을 겪다가 무공을 연마하여, 흉노가 중원을 침입하였을 때 혼자 물리쳐 위기에 처한 천자를 구해 주고 노왕(魯王)에 제수된 뒤에, 헤어졌던 이채봉을 만나 혼인을 하여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의 영웅 소설이자 군담 소설이다. 영웅적 인물인 주인공이 천자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다는 점에서 '유충렬전'과 유사하다.


이해와 감상


  • '유충렬전'은'조웅전'과 함께 조선 후기 영웅 소설과 군담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천상계의 신선이었던 주인공이 죄를 짓고 지상으로 적강하여 간신의 모해와 반역으로 위기에 처하지만, 신이한 능력을 발휘하여 위기에 처한 가문과 국가를 구출한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내용 전개는'주몽 신화'에서 비롯된 영웅 서사 구조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이 작품은 부친(유심)의 누명으로 신분이 하락한 주인공(유충렬)이 전란에 공을 세워 신분이 상승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 삶의 영고성쇠(榮枯盛衰)를 보여 주는데, 이는 충신과 간신이 대립하고 충신이 마침내 승리한다는 설정을 통하여 조선 시대의 충신상을 제시한 것이다.


  • 한편 무능한 왕권에 대한 규탄과 역경에 처한 왕가의 비굴성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 현실에서 실세(失勢)한 계층이 자신의 지위를 다시 만회해 보려는 꿈을 투영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 유충렬이 호국(胡國)을 정벌하고 통쾌한 설욕을 하는 장면은 병자호란 이후 생긴 민중들의 청나라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유충렬전'의 영웅 서사 구조


영웅 소설의 일반적 구조

유충렬의 일대기

고귀한 혈통

현직 고관 유심의 외아들

비정상적 출생

부모가 산천에 기도하여 늦게 얻은 아들 - 기자(祈子) 정성

탁월한 능력

하강한 천상인으로 비범한 능력을 지님

유년기의 위기

간신 정한담의 박해로 죽을 위기에 처함

구출ㆍ양육

강희주를 만나 그의 사위가 되고, 노승을 만나 도술을 배움

성장 후의 위기

정한담의 반란으로 국가적 위기를 맞음

고난 극복과 승리

반란을 평정하고 헤어진 가족을 만나 부귀영화를 누림


◇ 전체 줄거리


  • 명나라 사람 유심과 부인 장씨는 늦도록 자식이 없어서 한탄하다가 남악형산에 치성을 드리고 신이한 태몽을 꾼 뒤 아들'충렬'을 얻는다. 이때 유심이 오랑캐를 정벌하는 것을 반대하자, 역심(逆心)을 품은 정한담·최일귀등은 유심을 모함하여 귀양 보내고, 충렬 모자까지 살해하려고 한다. 그러나 충렬은 천우신조(天佑神助)로 위기에서 벗어나 고난을 겪다가 부친의 친구인 강희주를 만나 그의 사위가 된다.


  • 유심을 구하려던 강희주는 정한담의 모함으로 귀양을 가고, 그의 가족은 난을 피하여 뿔뿔이 흩어진다. 충렬은 백룡사의 노승을 만나 무예를 배우며 때를 기다린다. 이때 남적과 북적이 명나라에 쳐들어오자 정한담은 자원 출전하여 남적에게 항복하고, 오히려 남적의 선봉장이 되어 천자를 공격한다. 천자가 항복하려 할 즈음, 충렬이 천자를 구출하고 반란군을 평정한다. 헤어진 가족과 만난 충렬은 정한담 일파를 물리친 뒤 높은 벼슬에 올라 부귀영화를 누린다.


◇ 인물 소개


  • 유충렬 _ 천상에서의 이름은 자미원 장성. 지상으로 내려와 유심의 아들이 된다. 신적 능력을 지녔고 정의를 위하여 악과 싸우는 전형적인 영웅이다.


  • 유 심 _ 유충렬의 아버지. 개국 공신의 후예로, 정직하고 충성스러운 인물이다.


  • 강희주 _ 유충렬의 장인. 퇴재상으로 유심처럼 충직한 인물이다.


  • 정한담 _ 천상에서의 이름은 익성. 천상에서부터 충렬과 대립하는 악인으로, 지상으로 유배되어 명나라의 간신이 되며 유충렬과 대립한다.


  • 최일귀 _ 천상에서의 이름은 이걸. 정한담과 함께 천자에게 반기를 드는 악인이다.


주동 인물군

반동 인물군

유충렬, 유심, 강희주, 백룡사 노승, 왕공렬, 조정만 등

정한담, 최일귀, 옥관 대사, 마룡, 정문걸, 천극한 등


작품 연구실


◇ '유충렬전'의 주제와 작가 의식


  • '유충렬전'의 주된 갈등은 충신 유충렬과 간신 정한담의 대결이다. 유충렬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몰락한 가문을 일으키는 영웅적인 인물로, 정한담은 국가를 위기에 빠뜨리는 대역 죄인으로 형상화하여 유충렬이 정한담에게 복수하게 함으로써, 작가는 충신으로 설정된 유충렬을 일방적으로 옹호하고 있다.


  •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면서, 이면적으로는 당쟁(黨爭)으로 실세(失勢)했거나 몰락한 계층의 실세 회복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즉, 충성과 효도라는 중세의 윤리 관념을 중시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국가의 변란과 위기에서 큰 공을 세워 조정의 권신(權臣)으로 등장하여 자기 가문의 반대파를 숙청하고 과거 선조들의 명예를 회복하려는 몰락한 양반층의 욕망을 담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실세층(失勢層)의 복권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유충렬전'에 반영된 시대상


주전파(主戰派)ㆍ

주화파(主和派)의 대립상

병자호란 때 척화파(斥和派)와 주화파(主和派)가 대립함 → 토번과 가달의 정벌을 둘러싸고 정한담은 정벌을 주장하고 유심은 그것을 반대함

적의 인질로 잡혀감

병자호란 때 대군과 비빈이 청나라에 잡혀감 → 태후·황후·황태자가 호국(胡國)에 잡혀감

도성의 함락과 피신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란함 → 도성이 함락되자 천자가 금산성으로 피신함

외적에 대한 복수 의식

민중들이 병자호란 때 당한 수모를 보상받고자 함 → 유충렬이 호국을 정벌하고 복수를 함


◇ '유충렬전'의 이원적 구조


  • 천상계의 신선들로서 선인(善人) 자미성은 유충렬, 악인(惡人) 익성은 정한담이다. 이들은 천상의 백옥루 잔치에서 싸운 죄로 인간 세상에 유배된다. 지상에 내려와 유충렬은 충신, 정한담은 간신이 된다. 천상에서의 대립이 지상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대개의 영웅 소설들은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 공간을 설정하고, 주인공이 어떤 잘못으로 지상계로 추방된다는 적강 화소(謫降話素)를 지닌다.


◇ '군담 소설(軍談小說)'의 종류


창작 군담 소설

소설의 주인공이 역사상 실재했던 인물이 아니고 작가가 허구적으로 만들어 낸 인물이며, 작품에 나타나는 전쟁 또한 꾸며 낸 것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예) '유충렬전', '소대성전', '장익성전'등

역사 군담 소설

주로 외적의 침략을 물리칠 수 있는 민족적 능력을 과시하여 전란을 겪으면서 피폐해진 민족적 자존심을 고취하려는 의식을 담고 있다. 예) '임진록', '임경업전', '박씨전'등

번역 군담 소설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등이 널리 애독되자, 중국의 연의 소설 중 특히 군담이 흥미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을 번역하여 작품으로 간행한 것을 말한다. 예) '삼국대전', '화용도실기', '조자룡실기'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