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옥단춘전(玉丹春傳)(작자 미상)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국문 소설, 애정 소설

성격

  • 교훈적, 경세적(警世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조선 숙종 때, 평양

주제

  • 신의를 저버린 삶에 대한 경계
  • 기녀와의 사랑

특징

  • '춘향전'과 인물 설정과 내용 구성이 유사함
  • 주인공의 일대기적 서술 방식을 탈피함
  • 주인공의 일대기적 서술 방식을 탈피함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작자 미상, '춘향전(春香傳)'


판소리 '열녀춘향수절가(烈女春香守節歌)'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로, 이몽룡과 성춘향의 고난과 사랑을 다루고 있다. 결혼을 통한 춘향의 신분 상승, 탐관오리인 변학도의 응징을 통한 권선징악(勸善懲惡), 춘향의 일편단심(一片丹心), 암행어사의 등장 등 내용과 구성 면에서 '옥단춘전'과 유사한 면을 찾을 수 있다.


▶ 작자 미상, '오유란전(烏有蘭傳)'


조선 영조·정조 때의 한문 소설로, 기생 오유란의 유혹을 통하여 색(色)을 탐하는 양반들의 치부를 비판하고 있다. 죽마고우인 김생과 이생, 기생오유란 등 인물 구조가 '옥단춘전'과 흡사하다. 그러나 김생과 오유란이 공모하여 학문에만 몰두하는 이생을 훼절시키고, 김생과 이생의 갈등을 오유란이 기지로 해결하는 내용 구성 등은 '옥단춘전'과 차이가 있다.


이해와 감상


  • '옥단춘전'은 친구 사이의 우정과 배신, 그리고 이혈룡에 대한 평양 기생 옥단춘의 변함없는 신의와 애정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 이 작품은 어린 시절 친구 간의 약속을 어긴 김진희의 배신이라는 요소와 이혈룡에 대한 기녀 옥단춘의 헌신이라는 두 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런데 이러한 두 축의 핵심은 신의(信義)의 문제와 관련된다. 전자의 경우는 김진희가 이혈룡과의 신의를 깨뜨렸다는 점에서, 후자는 기녀 신분인 옥단춘이 평안 감사 김진희의 부당한 처사에 의분을 품고 이혈룡을 구출하였으며, 나아가 자신의 목숨을 걸고 이혈룡에 대한 믿음을 지켰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작품은 인물들 사이의 신의 문제를 조망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신의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 한편 이 작품은 '춘향전'의 인물 설정과 구조를 차용하여 작품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 작품의 이혈룡, 옥단춘, 김진희는 각각 이몽룡, 성춘향, 변학도에 대응된다. 또한 암행어사 모티프를 차용하고 있는 점이나 천한 신분의 옥단춘이 정덕부인이 되는 과정도 두 작품의 연관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 '옥단춘전'에서 다루고 있는 '신의'


친구간의

신의

'옥단춘전'의 이혈룡과 김진희는 어릴 적 우정을 나눈 신의 있는 관계였지만, 김진희의 배신으로 신의가 깨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신의가 깨지게 된 근본 원인은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혈룡은 몰락한 양반으로, 경제적 능력을 상실한 무능함을 보여 준다. 그의 유일한 해결책은 친구인 김진희에게 경제적 후원을 받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김진희는 이를 거절하고, 심지어는 이혈룡을 죽이려고까지 한다. 이러한 김진희의 신의 없는 모습을 통해 이 작품은 신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남녀간의

신의

옥단춘은 여성의 덕목인 정절을 바탕으로 이혈룡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과거를 보도록 권유한다. 옥단춘의 도움을 받아 과거에 급제한 이혈룡은 다시 옥단춘을 구원하여 신의를 지킨다. 이러한 모습은 이혈룡과 김진희의 관계에서 보이는 지배층의 무신(無信)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옥단춘으로 대표되는 하층민의 신의를 돋보이게 하여 신의의 중요성이라는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전체 줄거리


  • 이혈룡과 김진희는 함께 공부하면서 출세하면 서로 돕기로 맹세한다. 이후 이혈룡의 집안은 몰락하여 곤궁하게 되지만 김진희는 과거에 급제하여 평안 감사가 된다. 이혈룡은 지난날의 약속만 믿고 굶주리는 노모와 처자를 생각하여 김진희에게 도움을 청하고자 평양으로 떠나지만 관속들의 저지로 만나지 못한다. 이혈룡은 그 뒤 연광정에서 잔치를 벌이고 있던 김진희를 찾아가지만 김진희는 이혈룡을 미친놈 취급하며 죽이려고 한다.


  • 이때 이 광경을 지켜보던 기생 옥단춘이 혈룡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구출하여, 두 사람은 가연을 맺고 행복하게 지낸다. 이후 옥단춘의 권유로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올라간 이혈룡은 급제하여 암행어사에 제수된 뒤 다시 평양을 찾아 옥단춘과 해후한다. 연광정에서 잔치를 벌이고 있던 김진희는 걸인 행색의 이혈룡과 옥단춘을 함께 강물에 던져 죽이라고 명한다. 자신의 신분을 드러낸 이혈룡은 어사출또를 하게 되고, 김진희는 이혈룡에게 치죄받는 과정에서 벼락을 맞아 죽는다. 그 뒤 이혈룡은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고, 옥단춘은 정덕부인에 봉해져 부귀를 누린다.


◇ 인물 소개


  • 이혈룡 _ 김진희의 친구. 몰락한 양반의 신분에서 기녀 옥단춘의 도움으로 급제한 뒤 암행어사가 되어 김진희를 치죄하고 선정을 베푼다.


  • 옥단춘 _ 천한 신분의 기생이지만 행실이 바른 인물. 이혈룡의 인물됨을 알고 구원해 주며, 변함없는 마음으로 신의를 지킨다.


  • 김진희 _ 이혈룡의 친구. 신의를 저버린 인물로, 비판의 대상이 된다.


작품 연구실


◇ '옥단춘전'과 '춘향전'의 비교



옥단춘전

춘향전

유사점

시대 배경

조선 숙종조

  • 동일한 시대적 배경

공간 배경

한양, 평양

한양, 남원

  • 한양을 중심으로 이원화된 공간 배경

등장인물

이혈룡

옥단춘

김진희

이몽룡

성춘향

변학도

  • 등장인물의 신분
  • 과거 급제
  • 암행어사 모티프

결말

부귀공명

  • 부귀공명을 누리는 행복한 결말
  • 여자 주인공의 신분 상승- 성춘향(정렬부인), 옥단춘(정덕부인)

문체

율문체

  • 리듬이 있는 문체



◇ '옥단춘전'의 서사 구조


  • '옥단춘전'은 '약속 - 고난 - 구원 - 응징'으로 이어지는 서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약속'은 친구 사이인 이혈룡과 김진희가 출세하면 서로 돕기를 약속하는 내용이 핵심이고, '고난'은 급제하여 평안 감사가 된 김진희에게 가세가 곤궁하게 된 이혈룡이 도움을 청하다가 오히려 강물에 빠져 죽게 되는 내용이 핵심이다. 그리고 '구원'은 죽을 위기에 처한 이혈룡이 옥단춘에게 구출되고 후원을 받는 내용이 핵심이며, '응징'은 옥단춘의 권유로 과거에 급제한 이혈룡이 암행어사가 되어 김진희를 벌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 한편 이 작품의 서사 구조상 또 다른 특징은, 작품의 제목은 '옥단춘전'이지만 서사 전개가 이혈룡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반부에 해당하는 '약속 - 고난'은 이혈룡과 김진희의 대립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후반부에 해당하는 '구원 - 응징'은 이혈룡과 옥단춘의 사랑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 기녀 등장 소설로서 '옥단춘전'의 의의


  • 기녀 등장 소설 속 기녀의 모습은 양반 계층의 풍류 의식을 수용하는 향락 추구의 수단에서 점차 양반의 향락적 풍류 의식에 대항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이는 17세기 이후 경제 질서의 변동, 신분제의 동요 등의 사회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소설 속 기녀들은 자신을 주체성을 가진 여성으로 인식하고 유희의 대상이 아닌 진정한 인격체라는 자의식을 드러낸다.


  • 옥단춘 역시 양반들의 풍류나 향락의 수단으로 남기를 거부하고 자신의 애정 상대를 스스로 선택하였으며, 나아가 그를 위해 수절하는 적극적 인물로서의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기녀의 자의식 변화는 평민과 천민의 자의식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옥단춘이 몰락한 양반인 이혈룡을 후원하여 백성을 수탈하는 김진희를 징벌하게 함으로써 피지배층인 백성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내용이 그 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