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최고운전(催孤雲傳)(작자 미상)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설화 소설, 전기 소설, 영웅 소설, 적강 소설

성격

  • 설화적, 전기적, 영웅적, 도교적, 민족주의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통일 신라 시대, 신라와 중국

주제

  • 중국의 위협에 맞선 최치원의 비범한 능력
  • 최치원의 일대기를 통한 우리 민족의 문화적 자긍심 고취

특징

  • 다양한 전래 민담 화소들의 복합적 구성
  • 한문 경구의 인용과 한시의 삽입
  • 척한적(斥漢的) 민족의식의 반영

의의

  • 16세기 소설로, 전기 소설에서 영웅 소설로 전환되는 과정을 전형적으로 보여 줌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허균, '홍길동전(洪吉童傳)'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영웅 소설로, 홍길동은 첩의 자식으로 태어나 어려서 집을 떠난 후 조력자의 도움으로 대적자들을 물리치고 율도국의 왕이된다. 이것은 '최고운전'의 주인공이 어려서 금돼지의 자식이라고 하여 아버지로부터 버림받았지만, 조력자의 도움으로 중국에 들어가 황제를 제압하고 명성을 떨치는 것과 유사하다.


▶ 작자 미상, '전우치전(田禹治傳)'


조선 시대에 실존하였던 전우치를 조선 왕조의 지배 질서에 반역하는 영웅적 인물로 허구화한 작품이다. '최고운전'에서 역사적 실존 인물인 최치원을 신라의 영웅으로 허구화하였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해와 감상


  • '최고운전'은 신라 말의 대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의 일생을 허구적 구성으로 형상화한 전기적 영웅 소설로, 당나라에 대한 우리 민족의 우월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북방 민족에게 당했던 설움을 정신적으로 극복하고 보상받고자 하는 당대 민중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이 작품에는 적강(謫降)·기아(棄兒)·글재주 다툼·알아맞히기·기계(奇計) 등 전해 오는 설화들의 다양한 화소(話素)가 결합되어 있는데, 작가는 탁월한 상상력으로 역사적 인물 최치원을 전래되어 오는 설화 내용에 맞게 소설의 주인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최치원이 12세에 중국으로 들어간 점만 역사적 사실과 일치할 뿐 내용과 구성 면에서 역사적 사실과 상당한 거리가 있다.


◇ 전체 줄거리


  • 최충이 문창 수령으로 부임했을 때, 금돼지가 최충의 부인을 납치한다. 부인은 기지를 발휘해 금돼지를 죽이고 돌아와 여섯 달 만에 최치원을 낳는다. 하지만 최충은 금돼지의 자식이라 하여 아들을 외딴 섬에 버리는데, 하늘에서 선녀가 내려와 보호해 주고 선비가 내려와 글을 가르친다. 어느 날, 치원의 글 읽는 소리가 중국의 황제에게까지 들리자 황제는 두 학사를 보내 글을 겨루게 한다. 하지만 두 학사는 치원을 당하지 못하고 중국으로 돌아간다.


  • 황제는 달걀을 넣고 밀봉한 석함(石函)을 신라에 보내며 그속에 든 물건을 맞히지 못하면 공격할 것이라고 위협한다. 치원은 석함 속의 물건을 맞히면 벼슬과 땅을 나누어 주겠다는 임금의 제안과 승상 나업의 딸 운영이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서울로 올라가 나 승상의 종이 된다.그리고 나 승상의 딸을 아내로 삼는 것을 조건으로 석함의 물건을 알아맞히는 시를 짓는다. 이 일로 중국으로 가게 된 치원은 도중에 조력자를 만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된다.


  • 낙양에 도착한 치원은 황제의 간계(奸計)를 모두 물리치고 중원의 학자들과 문장 실력을 겨루어 승리한다. 이때 황소의 난이 일어나서 치원이 격문(檄文)을 지어 항복을 받으니 황제의 신하들이 시기하여 치원을 죽이려고 고도(孤島)로 유배를 보낸다. 그곳에서 몇 차례의 위기를 극복한 치원은 사람을 몰라보는 황제 밑에서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신라로 돌아와 가야산에 들어가 신선이 된다.


작품 연구실


◇ '최고운전'의 갈등 구도


최충

친자 의혹에 따른 부자간의 갈등

최치원



나 승상

나운영과의 혼인에 따른 주종간의 갈등

최치원



중국의

학자들

학식의 우열을 따지는

문사(文士)간의 갈등

최치원



황제

힘의 우열에 따른 대·소국 간의 갈등

최치원


◇ '최고운전'의 영웅 소설적 특징


  • '최고운전'은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갖춘 소설이다. 또한 작품을 구성하는 개별 화소들이 후대 영웅 소설의 서사 단락들과 유사하다.


  • 첫째,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형식을 빌려 표현된 주인공 최치원의 혈통과 작품 도중에 나타나는 적강 화소, 주인공을 도와주는 천상적 힘의 존재는 후대의 영웅 소설에 설정된 적강 화소 및 천상적 질서와 대응된다.


  • 둘째, 최치원이 부모로부터 버림을 받는 한편, 자신도 부모를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것은 '아기장수 설화'의 자식 살해 화소와 같은 것으로,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 영웅적 인물의 부자 갈등과 대응된다.


  • 셋째, 최치원이 나 승상의 종이 되어 말을 키우고 화원을 관리하다 승상의 사위가 되는 내용은 후대의 영웅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조력자와의 조우, 여인과의 결혼을 통한 계층 상승 과정과 대응된다.


  • 넷째, 최치원이 문제를 풀어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 중국 황제와 대결하는 과정은, 영웅 소설에서 국가를 위기에서 구함으로써 획득한 지위를 굳게 다지는 것과 대응된다.


  • 다섯째, 최치원이 중국으로 가는 도중에 신이한 인물들로부터 받는 도움은 후대의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이 조력자로부터 받는 도움과 대응된다.


◇ '최고운전'의 특징 및 작가 의식


  • 대부분의 군담 소설이 전쟁을 소재로 하여 민족의 영웅을 창조하고 있는데 비해,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의 탁월한 재능을 중외(中外)에 과시하기 위해 최고운 같은 문사(文士)를 민족의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에는 군담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척한 사상(斥漢思想)이 나타나 있다.


  • 즉, 이 작품에는 대국(大國)인 중국의 간교함을 드러내어 맹목적인 사대주의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등 작가의 주체 의식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실제로 친당적(親唐的)인 인물인 최치원을 반당적(反唐的) 영웅으로 허구화한 것은 중국에 대한 적개심에서 나온 작가 의식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 실존 인물로서의 '최치원'


  • 최치원(崔致遠, 857~?)은 통일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로, 자는 고운(孤雲)·해운(海雲)이다. 12세에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써서 이름을 높였다. 저서에 "계원필경", "사륙집(四六集)"따위가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