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구운몽(九雲夢)(김만중) 정리

반응형

핵심정리


갈래

  • 국문 소설, 몽자류(夢字類) 소설, 양반 소설, 염정 소설, 영웅 소설

성격

  • 전기적, 이상적, 불교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당나라 때, 중국 남악 형산 연화봉 동정호(현실), 당나라 서울과 변방(꿈)

제재

  • 꿈을 통한 성진의 득도(得道) 과정

주제

  • 인생무상(人生無常)의 깨달음을 통한 허무의극복

특징

  • '현실-꿈-현실'의 이원적 환몽 구조를 지닌 일대기 형식을 취함
  • 유교, 불교, 도교 사상이 나타나며, 그 중 불교의 공(空) 사상이 중심을 이룸
  • '조신의 꿈'의 영향을 받음

연대

  • 조선 숙종 15년(1689년)


작가 소개


▶ 김만중(金萬重, 1637~1692)


조선 숙종 때의 문신. 호는 서포(西浦). 서인(西人)의 거두로, 1689년 숙종의 폐비 사건에 반대하다가 남해에 유배되어 그 곳에서 병사했다. 진보적인 유학 사상과 국문 가사 예찬론을 비롯해 우리말에 대한 애착을 담고 있는 선진적인 문학관을 보여 주었다. 문집(文集)으로 "서포만필(西浦漫筆)", "서포집(西浦集)"등이 있고, 소설 작품으로 '구운몽(九雲夢)'과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가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작자 미상, '조신의 꿈'


일장춘몽(一場春夢)인 인생의 허무를 주제로 한 몽자류 소설의 연원이 되는 설화로, 김만중의 '구운몽(九雲夢)', 이광수의 '꿈'등과 같은 소설의 모티프가 되었다. 인간의 세속적 욕망은 덧없는 것이며 고통의 근원이라는 불교적 가르침이 나타나 있다.


▶ 남영로, '옥루몽(玉樓夢)'


주인공 양창곡(楊昌曲)이 만국(蠻國)을 토벌한 공으로 연왕(燕王)으로 책봉되어 두 명의 처와 세 명의 첩을 거느리고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다가 하늘로 올라가 선관(仙官)이 되었다는 내용의 몽자류 소설로, 주제와 줄거리가 '구운몽'과 유사하다.


이해와 감상


  • '구운몽'은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 어머니 윤씨 부인을 위로하고자 지었다고 전해지는 몽자류 소설로, 주인공 성진이 하룻밤 꿈에서 겪은 일을 작품의 골격으로 삼고 있다. 불제자 성진이 꿈속에서 유교적 공명주의에 입각해 국가와 군왕에게 충성을 다하고 세상의 온갖 영화를 누리고 깨어나, 인간의 부귀영화(富貴榮華)는 일장춘몽(一場春夢)에 불과하다는 불법의 진리를 깨닫는다는 내용이다.


  • 이 작품은 일종의 액자 소설로 현실과 꿈이 교차하고 있는데, 현실의 공간이 천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꿈의 공간이 지상 세계로 설정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현실의 공간으로 설정된 천상은 불교가 지배하는 곳이고, 꿈의 공간인 지상 세계는 유교가 지배하는 곳이다. 이야기는 '현실(천상) - 꿈(지상) - 현실(천상)'의 순서로 전개되고 있으며, 작품의 주제 의식 역시'불교 - 유교 - 불교'의 흐름으로 변화를 보인다.


  • 한편 꿈을 빌려 내용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이후에 창작되는 '옥련몽', '옥루몽'등 이른바 몽자류 소설의 규범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또한 이 작품은 영웅 소설의 구조를 수용하면서도 철학적·종교적 주제를 새로운 형태로 구현한 소설로, 유교적 공명주의와 불교의 공 사상과 도교의 신선 사상이 교묘히 융합되어 한국인의 정신생활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구운몽'의 구조 - 환몽 구조, 액자 구성


현실(외화)


꿈(내화)


현실(외화)

신선계, 천상


인간계, 지상


신선계, 천상






비현실적, 초월적,

형이상학적


현실적,

형이하학적


비현실적, 초월적,

형이상학적






불교


유교


불교






성진과 팔선녀


양소유와 2처 6첩


성진과 여덟 이고






세속적 욕망으로 인한

번뇌 - 불교에 대해 회

의하는 성진


세속적 욕망의 성취 -

유교의 입신양명(立身揚

名)을 성취하는 양소유


득도, 깨달음 - 불교에

귀의하는 성진


◇ 전체 줄거리


  • 육관 대사의 심부름으로 용궁에 간 성진은 용왕의 극진한 대접에 술을 몇 잔 마시고, 돌아오는 길에는 팔선녀를 만나 수작을 부린다. 절에 돌아온 성진은 선녀들을 그리워하며 부귀영화만 생각하다가 속세로 추방되어 양소유(楊少遊)로 환생한다. 한편 팔선녀도 각각 인간 세상에 환생하고, 이후 양소유는 차례로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게 된다. 이렇게 두 부인과 여섯 낭자를 거느린 양소유는 입신양명하여 그 벼슬이 승상에 이르는 등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


  • 승상의 벼슬에서도 물러나 한가히 여생을 즐기던 양소유는 어느 가을날 두 부인과 여섯 낭자를 거느리고 뒷동산에 올라갔다가 문득 인생의 허무함을 느끼는데, 이때 한 도승이 나타나 그의 꿈을 깨운다. 꿈에서 깬 성진은 잘못을 뉘우친 후 불교에 다시 귀의하고 팔선녀도 불제자가 되기를 청한다. 이후 아홉 사람은 열심히 불도에 정진하여 모두 극락세계로 들어간다.


◇ 인물 소개


  • 성진 _ 육관 대사의 수제자. 인간의 욕망과 그 욕망의 허구성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인물로, 꿈에서 '양소유'로 환생하여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지만, 그것이 허망한 꿈에 불과한 것임을 깨닫고 불도에 정진하여 득도한다.


  • 팔선녀 _ 남악 형산을 주재하는 위부인의 시녀들. 성진과 마찬가지로 남녀의 정욕을 탐하고 속세를 흠모하다가 꿈에서 '양소유의 2처 6첩'으로 환생하지만 이후 인생무상을 깨닫고 불도에 입문한다.


  • 육관 대사 _ 성진의 스승. 성진과 팔선녀를 계도하여 참다운 깨달음에 이르게 한다.


작품 감상실



◇ 제목 '구운몽(九雲夢)'의 상징적 의미


구(九)

운(雲)

몽(夢)

인물


주제


구성 - 환몽 구조

현실 - 성진과 팔선녀

꿈 - 양소유와 2처 6첩


인생무상의 깨달음


양소유가 세속적 욕망이

헛된 것임을 깨닫는 공간


성진과 팔선녀 아홉 사람이 속세의 부귀영화를 갈망하다가 꿈에서 부귀영화를 누린 후에 허망함을 느끼고,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는 이야기


◇'구운몽'의 배경 사상


유교

  • 양소유의 노모에 대한 지극한 효심- 유교의 효 사상
  •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큰 공을 세워 부귀와 공명을 누리는 것- 조선 양반 사회의 이상, 입신양명

유교, 도교,

불교가 융

합된 가운

데 불교

공(空) 사상

이 강조됨

도교

  • 용왕의 등장, 위부인과 팔선녀의 등장, 양소유의 부친 양 처사가 옥황상제의 명을 받고 신선이 되어 올라가는 것 등- 작품의 비현실적 내용을 이루는 신선 사상은 도교 사상에서 비롯됨

불교

  • 성진이 꿈에서 깨어난 뒤 깨달음을 얻고 불도에 귀의하는 것, 팔선녀가 삭발하고 여승이 되는 것, '성진'이라는 불교적 어구를 사용하여 주인공의 이름을 지은 것 등 - 주제를 드러내는 핵심 사상, 공(空) 사상


◇ 몽자류(夢字類) 소설로서 '구운몽'의 특징


  • 몽자류(夢字類) 소설은 글자 그대로 제목에 몽(夢)자가 붙은 소설로 환몽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환몽 구조란 주인공이 입몽(入夢) 과정을 거쳐 꿈에서 새로운 인물로 태어나 새로운 삶을 체험한 뒤, 각몽(覺夢)과정을 거쳐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서사 구조이다.


  • 몽자류 소설의 환몽 구조에서는 주인공이 꿈을 통해 새로운 인물로 태어나 파란만장한 일생을 거친 뒤 꿈에서 깨어나 본래의 자아로 되돌아오는 이야기가 3인칭 전지적 작가 또는 관찰자를 통해 서술된다. 따라서 몽자류 소설에서는 현실과 꿈, 모두가 의미가 있다. 현실에 대한 깨달음을 꿈에서 얻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몽자류 소설의 구조는 몽유록 소설의 구조와는 분명한 차이점을 보인다. 몽유록 소설은 현실과 꿈에서 동일한 인물이 등장하고 신분의 변화가 없으며, 주인공이 꿈에서 겪은 일을 현실 세계에서 서술하는 단순한 액자 구조로 되어 있다.


  • 김만중의 '구운몽'은 몽자류 소설의 효시이다. '구운몽'에서 '꿈'은 분량에서도 90% 가량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귀영화의 허망함과 인간 세상의 무상함이라고 하는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