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성진사전(成進士傳)(이옥)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한문 소설, 전(傳)

성격

  • 비판적, 교훈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조선 후기, 상주 지방

주제

  • 조선 후기의 어지러운 사회상 고발
  • 성희룡의 인품 예찬

출전

  • "담정총서"

작가

  • 이옥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이옥, '심생전(沈生傳)'


이옥의 또 다른 작품으로, 양반의 자제인 심생과 중인층 처녀가 신분의 제약 때문에 헤어지는 비극적 사랑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작품 말미에 작가의 평가가 드러난다는 점에서 '성진사전'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해와 감상


  • '성진사전'은 조선 후기의 문인인 이옥이 '전(傳)'의 형식을 빌려 쓴 고전 소설이다. 먹고 살기 위해 간사하고 교활한 술수도 마다하지 않는 현실의 모습을 사실 그대로 보여 주면서, 성희룡의 사례와 이에 대한 작가의 평가를 드러내고 있다.


  • 작가는 거지와 관련된 성희룡의 일화를 제시하면서, 교활한 술수가 판치는 현실 속에서 성희룡과 같이 삼갈 줄 아는 처세와 너그러운 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한편 이어지는 평가 부분에서는, 표면적으로는 성희룡의 삼가는 태도를 강조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거지처럼 간사하고 교활하게 살 수밖에 없는 사회 현실을 고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원인이 부조리한 정치 현실에 있다고 보고 그에 대한 혐오와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성진사전'의 갈등 구조


  • 이 작품은 처세의 도를 실천한 성희룡과 간사하고 교활한 세태를 보여주는 거지의 갈등 구조로 파악할 수 있다.


성희룡

거지

후덕한 인품과 처세


간사한 술수와 교활한 세태

간사하고 교활한 술수가 판치는 세상에서 삼가는 태도가 필요함을 보여 주는 인물


지배층의 무능을 비판하기 위해 내세운 인물


작품 연구실


◇ '성진사전'의 구성


  • 일반적으로 '전(傳)'은 한문 문체의 하나로, 한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전통적인 서사물이다. 특히 전은 한 사건의 전말을 기록한 기(紀)와 함께 문학적인 면보다는 역사적인 기록물로서 더 많은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성진사전'은 주인공 성희룡의 성격이 사건을 인과적으로 전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성희룡과 거지의 갈등 구조와 갈등의 해소, 대화와 행동을 통한 극적 구성, 그리고 비인간적인 행위가 만연한 사회 현실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지배 계층의 무능을 비판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써 일반적인 '전'의 구조와는 다른 소설적 구조를 보인다고 평가할 수 있다.


도입

  • 교묘하게 시비를 걸어 상대를 곤경에 빠뜨리는 세태

전개

  • 성희룡의 일화 - 거지가 성희룡을 화나게 하여 곤경에 빠뜨리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그의 후덕한 인품에 감동하여 물러감

논평

  • 성희룡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
  • 세태에 대한 작가의 주관적 견해
  • 어지러운 세태에 대한 바람직한 처세상 제시
  • 부정적인 세태를 수수방관하는 지배층의 무능 비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