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허생전(許生傳)(박지원)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한문 소설, 풍자 소설

성격

  • 풍자적, 비판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조선 효종 때(17세기 중반), 국내(서울, 안성, 제주, 변산 등)와 국외(장기도, 빈섬 등)

제재

  • 허생의 이인적(異人的) 삶

주제

  • 지배층인 사대부의 무능과 허위의식 비판
  • 지배층의 각성 촉구

특징

  •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당대 사회의 모순을 풍자함
  • '빈 섬'을 통해 이상향의 구체적 모습을 제시함
  • '허생'이라는 영웅적 인물의 행적을 중심으로 사건을 전개함

의의

  • 당시 사회의 모순을 비판·풍자하고 근대 의식을 고취한 실학 문학의 대표작

출전

  • "열하일기"중 '옥갑야화(玉匣夜話)'

작가

  • 박지원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최시한,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일기 형식의 성장 소설로, 전교조 투쟁이 한창이던 1990년대의 교육 현장을 배경으로 현실적 모순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실천적 행동을 촉구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허생'이란 인물을 분석하고 있는데, '허생전'의 현대적 해석이라는 점에서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 '허생전'은 '허생'이라는 비범한 풍모와 영웅적 면모를 지닌 인물을 통해 당대 사회의 경제적·사회적 제도의 취약점과 모순, 지배 계층인 사대부의 무능과 허위의식을 풍자한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 허생의 행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선 매점 매석(買占賣惜)을 통한 상행위이다. 허생은 매점 매석을 통해 많은 돈을 버는데, 이러한 상행위를 통해 작가는 그 당시의 취약한 경제 구조뿐만 아니라 허례허식에 치우친 양반들을 풍자하고 있다.


  • 두 번째는 허생이 군도를 이끌고 빈 섬으로 들어가는 행위이다. 이를 통해 지배층의 무능으로 말미암아 양민이 도둑이 될 수밖에 없는 사회 현실을 비판하면서,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은 이완 대장과 만나 대화하는 행위이다.


  • 허생은 이완에게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위한 인재 등용, 치욕을 씻기 위한 명나라 후예와의 결탁, 유학과 무역이라는 시사 삼책을 제시하지만, 양반 지배 계층을 대변하는 이완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작가는 의미 없는 북벌론만을 내세우는 무능한 양반 계층을 비판하고 있다.이렇게 볼 때, 이 작품은 '허생'이라는 작가의 대리인을 내세워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허생'의 행위에 따른 작가의 현실 인식


허생의 행위

작가의 현실 인식

  • 글만 읽고 경제적으로 무능력한 서생의 삶
  • 사대부의 허위적인 삶 비판
  • 변씨에게 돈을 빌려 매점 매석으로 돈을 벌게 됨
  • 취약한 경제 구조 지적
  • 양반의 허례허식 비판
  • 도둑이 된 양민들(군도)을 데리고 빈섬으로 감
  • 무능력한 지배층 비판
  • 이용후생의 정책 부재 비판
  • 이완 대장에게 시사 삼책 제시
  • 북벌론의 허구성 비판
  • 집권층의 무능력과 허례허식 비판


◇ 전체 줄거리


  • 남산 밑 묵적골〔墨積洞〕에 살며 책 읽기만 즐겨하던 가난한 선비인 허생은, 어느 날 생활고를 견디지 못한 아내의 질책을 듣고 장안의 부자인 변씨를 찾아가 만 냥을 빌린 후 과일과 말총을 매점 매석하여 큰돈을 번다. 이후 도적의 소굴로 찾아가 도적들을 설득한 뒤, 이들을 이끌고 미리 보아 둔빈 섬으로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살도록 한다.


  • 이곳에서 농사와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허생은 자신의 이상국 건설 시험을 마친 뒤 섬에서 나와 나라 안의 빈민을 구제한다. 변씨의 이야기를 들은 이완 대장이 허생의 사람됨을 알고 찾아와 인재를 구할 방법을 묻는다. 이에 허생은 시사 삼책을 제시하지만, 이완 대장은 모두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허생은 지배층의 허례허식을 비판하면서 이완을 내쫓는다. 다음 날 허생은 자취를 감춘다.


◇ 인물 소개


  • 허생 _ 비범한 풍모를 지닌 가난한 선비로 지배층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을 실천하는 인물이다.


  • 허생의 처 _ 실용적 사고를 지닌 인물로 경제적 능력을 중시한다. 허생으로 하여금 상행위로 나서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 변씨 _ 허생의 인물됨을 꿰뚫어 보는 안목을 지닌 인물로 이완 대장과 허생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


  • 이완 _ 무능한 지배 계층을 대변하는 인물로, 과거의 인습에 얽매여 새로운 변화를 거부한다. 작가의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이다.


작품 연구실


◇ '허생전'을 통해 본 시대적 배경


사회 현실 상황

  • 경제적 피폐와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으로 평민들은 기본적인 생계조차 꾸리기 어려워 도둑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신분 질서의 동요

  • 경영형 부자(변씨)와 생계조차 잇기 어려운 몰락한 양반(허생)이 생겨났다.
  • 평민 의식의 성장으로, 지배층의 무능함과 허위가 드러나면서 지배층(양반)이 비판과 풍자의 대상이 되었다.

실학사상

  •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으로 구세제민(救世濟民)을 주장하는 새로운 학풍이 등장하였다. 허생이 군도들을 이끌고 빈 섬으로 간 행위와 남은 돈으로 빈민 구제에 힘쓴 모습을 통해 이를 엿볼 수 있다.


◇ '허생전'과 '홍길동전'비교



허생전

홍길동전

출가 동기

경제적 문제의 해결 추구

사회 제도에 대한 반발

전개 과정

매점 매석 행위 - 경제 질서 문란

활빈당 조직 - 지배 체제에 항거

주인공의 지향

빈 섬 개척

율도국 건설

결말

종적을 감춤

백일 승천함


  • '홍길동'과 '허생'은 사회 제도를 비판하고 이러한 제도에 대해 반항적인 인식을 지녔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하지만 홍길동은 무(武)를 행사하는 영웅으로서 사회 제도 개혁에 중점을 두고 있고, 허생은 문(文)을 숭상하는 선비로서 경제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들 모두 주어진 현실적 상황을 거부하고 새로운 질서를 희망하고 있으며, 그들이 지향한 이상향은 유교적 질서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 이는 각 작품의 작가인 허균과 박지원이 사대부의 의식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편 소설의 결말 구조와 관련해서는 '홍길동전'보다 '허생전'이 독자에게 주는 감동의 여운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박지원의 사상이 당대 현실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울 만큼 급진적이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 연암 박지원의 사상적 배경


  • 연암의 사상은 실학 중에서도 북학파(北學派)에 속한다. 연암은 그와 교우하던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등과 함께 북학파로 불리운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의 대표적 인물이다. 명분을 내세우는 유학의 이론에 반기를 들고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벽돌의 사용, 수레의 통용, 적극적 통상 등을 제시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 백성의 궁핍한 삶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 이러한 그의 북학 사상은 '허생전'에도 잘 드러나 있는데, 집권층의 현실성 없는 북벌론을 비판하며 진정한 북벌은 뚜렷한 주체 의식으로 청나라의 선진 문물과 제도를 도입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는 내용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