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조웅전(趙雄傳)(작자 미상)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국문 소설, 영웅 소설, 군담 소설

성격

  • 영웅적, 도술적, 비현실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중국 송나라 시대, 송나라와 주변 중국 대륙

주제

  • 진충보국(盡忠報國)과 자유연애

특징

  • 영웅적 무용담과 결연담을 결합해 구성함
  • 한시를 삽입하여 인물의 상황이나 의중을 드러냄
  • 유교 사상, 불교 사상, 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출전

  • 영웅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조선 후기 '춘향전'과 더불어 가장 널리 읽혔던 작품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작자 미상, '최현전(崔賢傳)'


전형적인 군담 소설로, 전반부의 고행담과 결연담, 후반부의 영웅담은 '조웅전'의 구조와 비슷하다. 전반부는 최현의 고행담과 월계(月桂)와 영애(英愛)의 결연 과정이 중심이 되고, 후반부는 최현의 영웅담에 이어 아들 최홍의 영웅담까지 곁들이고 있어 가문 소설의 성격도 아울러 띠고 있다.


▶ 작자 미상, '장경전(張敬傳)'


영웅의 일대기를 기술하는 영웅 소설의 보편적 구조를 갖춘 작품이다. 사건의 기본 축이 혼사의 성취와 충(忠)의 실현에 있는 점이 '조웅전'과 비슷하다. 장경은 나라에 충성한 공로로 연왕에 오르게 되는데, 이것도 '조웅전'의 결말과 비슷하다. 이러한 내용은 이 작품이 전형적 공명 획득의 과정을 보여 주는 권선징악적 영웅 소설임을 드러낸다.


이해와 감상


  • '조웅전'은 국문으로 쓰여진 영웅 소설이며 군담 소설로, 진충보국(盡忠報國)과 자유연애를 주제로 하고있다.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이고, 둘째는 조웅과 번왕의 대립이며, 셋째는 다시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이다.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은 조웅의 아버지 조정인의 죽음에 따른 숙명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번왕과의 대립은 조웅의 아버지가 번왕과 대립하는 위왕과 우호 관계였기 때문에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이 작품은 여타의 군담 소설과 비교할 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이 작품에는 명산대천(名山大川)에 기도를 드림으로써 아들을 얻는 기자(祈子) 정성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둘째, 주인공이 천상인으로 적강한다는 화소가 없다. 셋째, 장 소저와 혼전에 동침하게 되는데, 이는 보수적인 윤리 의식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행동으로 매우 이색적이다. 이러한 특징은 대중들의 기호에 맞게 통속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파악된다.


◇ '조웅전'의 이야기 구조


고행담

결연담

무용담

  • 이두병에게 쫓겨 어머니와 유리걸식함
  • 월경 대사, 철관 도사에게 병법과 무술을 익힘
  • 장 소저와 혼전 성사를 가짐
  • 장 소저는 강호자사에게서 정절을 지킴
  • 위왕을 도와 서번을 격파함
  • 유배된 태자를 구출함
  • 이두병의 군대를 물리침


◇ '조웅전'의 대립 구조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

조웅과 번왕의 대립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

↓ 원인


↓ 원인


↓ 원인

이두병이 조웅의 아버지를 모함하여 죽게 함으로써 조웅과 이두병이 원수가 됨


조웅이 아버지와 우호관계에 있는 위왕을 돕자, 위왕과 대립 관계에 있는 서번왕과 대립하게 됨


이두병이 송의 태자를 쫓아내고 스스로 천자가 되어 천명을 거스름


◇ 전체 줄거리


  • 중국 송(宋)나라 문제(文帝) 때 승상 조정인이 이두병의 참소를 받고 음독자살하자, 조웅 모자는 이두병을 피해 도망다닌다. 이때 천자가 세상을 떠나자, 이두병은 어린 태자를 계량도로 유배 보내고 스스로 천자가 된다. 조웅 모자는 온갖 고생을 하며 유랑하다가 월경 대사를 만나 강선암에 들어가 살게 된다. 월경 대사로부터 술법과 글을 배운 조웅은 강선암을 떠나 강호의 화산 도사로부터 조웅검(삼척검)을 얻고, 철관 도사에게서 무술과 도술을 배운 뒤 용마를 얻는다.


  • 조웅은 강선암으로 어머니를 만나러 가던 중 장 소저를 만나 혼인을 약속한다. 이때, 서번이 위국을 침공하므로 조웅은 위국으로 달려가서 위왕을 도와 서번군을 격파한다. 그런 다음 태자를 구출하고, 중국으로 와서 이두병 일파를 처단한다. 조웅은 위왕과 연합하여 수십 만 대군으로 황성을 쳐서 이두병의 목을 베고, 태자를 천자의 자리에 등극시킨다. 황실은 다시 회복되고 조웅은 서번의 왕이 된다.


◇ 인물 소개


  • 조웅 _ 좌승상 조정인의 아들로,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태자를 복위시키는 영웅이자 충신의 전형적인 인물이다.


  • 조정인 _ 조웅의 아버지로, 충신이었으나 이두병의 참소로 음독자살한다.


  • 이두병 _ 권력욕에 어린 태자를 내쫓고 스스로 천자의 자리에 오르는 전형적인 간신형 인물이다.


  • 월경 대사, 화산 도사, 철관 도사 _ 초월적 능력을 지닌 도사들로, 조웅에게 술법과 병법을 가르쳐 주는 조력자들이다.


  • 장 소저 _ 조웅과 백년가약을 맺은 장 진사의 딸로, 조웅을 연모하다 병이 들어 죽지만 조웅이 구해 온 선약을 먹고 소생한다.


작품 연구실


◇ 영웅의 서사 구조와 '조웅'의 일생


고난

아버지의 음독자살 → 어머니와 유리걸식

조력자 만남

월경 대사, 화산 도사, 철관 도사

사랑

장 소저와 혼인

영웅적 활약

서번을 격파하고 태자를 구출함

복수

이두병 일파를 격파함

승리

조웅이 서번의 왕이 됨


◇ '조웅전'의 특징


  • '조웅전'은 영웅의 서사 구조를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다른 작품에 비하여 특이한 점이 있다. 첫째, 주인공의 탄생에서 기자(祈子) 정성이나 태몽, 혹은 천상인의 하강과 같은 모티프가 없다. 둘째, 서술자의 개입이 있기는 하지만 빈번하지 않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에 운문을 삽입하여 인물의 심리나 상황을 압축적으로 전달한다.


  • 셋째, 다른 군담 소설의 주인공들이 대부분 천상계 인물의 후신으로서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반해, 이 작품의 주인공은 자신의 힘보다는 초인의 조력으로 운명을 개척하여 간다. 넷째, 이 작품은 부모의 허락 없는 혼전 성사(婚前性事)를 다루고 있어 전통적 유교 윤리에 어긋나는 애정담을 지닌다.


◇ '조웅전'의 영웅·군담 소설의 성격


  • 군담 소설의 대결 양상은 중국과 오랑캐의 갈등, 충신과 역신(간신)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황제의 바른 통치에 의해 이룩한 태평한 세계 질서를 어지럽히는 오랑캐와 역신은 '악의 축'이며, 이러한 악의 축을 제거하고 태평한 세계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군사적인 대결을 하는 것이 군담 소설이다.


  • '조웅전'은 철저하게 선과 악의 이분법적 대결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즉, '중국'은 '선(善)'으로, 중국의 지배 질서에 도전하는 '오랑캐'는'악(惡)'으로, '황제'는 '선(善)'으로, 황제의 지배 질서에 도전하는 '역신(逆臣)'은 '악(惡)'으로 규정한다. 이렇게 볼 때, 조웅은 '절대 선'에 해당하는 중국과 황제를 지켜 나가는 영웅적 주인공이다.


  • 두 개의 악의 축인 '오랑캐'와 '역신'가운데'조웅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황제에 의해 구축된 세계 질서를 붕괴하는'역신'의 문제이다. 이는 '조웅전'이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군담 소설의 상투적인 출생담을 생략한 채 역신의 문제를 제기하며 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조웅과 이두병의 기나긴 싸움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그려내면서 역신으로 인해 붕괴된 세계 질서가 조웅에 의해 어떻게 복구되는가도 잘 보여 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