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서동지전(鼠同知傳)(작자 미상) 정리

반응형

핵심 정리


갈래

  • 우화 소설, 송사 소설, 풍자 소설

성격

  • 우의적, 교훈적, 풍자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중국 당나라, 옹주

제재

  • 은혜를 모르는 남편 다람쥐와 무고하게 송사 사건에 휘말린 서대주

주제

  • 사필귀정(事必歸正), 권선징악(勸善懲惡)

특징

  • 동물을 의인화하여 주제를 형상화함
  • 봉건적 가치관에 대한 비판 의식이 드러남
  • 대립하는 두 인물을 통해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 작자 미상, '서대주전(鼠大州傳)'


쥐들의 소송 사건을 통해 인간 사회, 특히 조선시대 양반들의 위선적인 생활 태도와 당시 재판관의 무능을 풍자·폭로한 작품이다. 송사 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나 당대의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는 점, 쥐와 다람쥐를 등장인물로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동지전'과 매우 유사하다.



▶ 작자 미상, '은애전(銀愛傳)'


전라도 강진 지방의 '김은애'라는 여인의 살인 사건을 다룬 송사 소설로, 실제 살인 사건의 전말과 그 처리 과정을 다루고 있다. 송사 소설로서 사건의 처리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서동지전'과 유사하다.


이해와 감상


  • '서동지전'은 간악한 다람쥐가 어질고 후덕한 서대주(쥐)에게 은혜를 입고도 배은망덕하게 그를 모함하였다가 판관 호랑이〔白虎山君〕의 지혜로운 판단으로 진실이 밝혀져 벌을 받는다는 내용의 우화 소설이다. 이 작품이 널리 향유되었던 조선 후기의 사회적 배경과 관련지어 보면, 다람쥐는 조선 후기의 몰락한 양반 계층을, 서대주는 조선 후기 새롭게 부상한 신흥 상공인 계층을 표상한다.


  • 이 작품은 권선징악이라는 관념적, 유교적 주제 이면에 봉건적인 체제를 거부하고 새로운 인간상을 추구하려는 근대 지향적 주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남편 다람쥐를 질책하는 계집 다람쥐의 모습에서 부창부수(夫唱婦隨)와 여필종부(女必從夫)라는 봉건적인 사고방식과 도덕관에 대한 비판, 전통적인 윤리관을 타파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오소리와 너구리를 통해서는 당대 하급 관리의 부패상과 정치적 현실이 지닌 모순을 찾을 수 있다.


◇ '서대주'와 '남편 다람쥐'의 인물 유형


서대주

  • 자신이 도와준 다람쥐에게 모함을 당하고도 결국 그를 용서하는 후덕한 인물
  • 누명을 벗기 위해 뇌물이라는 부당한 수단까지도 이용하는 현실적인 인물
  • 변화하는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여 자신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권익을 추구하는 능동적인 인물

긍정적·근대 지향적 인물 : 조선 후기 신흥 상공인 계층을 표상

남편

다람쥐

  • 몰락했지만 양반이라는 허위의식에 젖어 열심히 일을 하기보다는 남에게 의존하며 살아가는 나태하고 무능한 인물
  • 아내의 올바른 충고를 무시하고 질책하는 가부장적 인물
  •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서대주를 모함하는 배은망덕한 인물

부정적·권위적·봉건적 인물 :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 계층을 표상


◇ 전체 줄거리


  • 중국 옹주땅 구궁산 토굴에 사는 서대주(鼠大州)는 당 태종이 금용성을 치려 할 때, 종족을 거느리고 금용성 창고에 양식으로 쌓아 둔 쌀을 없애버리는 큰 공을 세워 벼슬을 얻고 잔치를 베푼다. 이때, 하도산의 다람쥐가 서대주 잔치에 찾아가 자신의 딱한 사정을 호소하고 식량을 얻어 와 봄을 무사히 지낸다. 그러나 본성이 게으른 다람쥐는 겨울이 돌아오자 다시 굶는 신세가 되어 한 번 더 서대주를 찾아가서 구걸한다. 하지만 서대주는 종족의 형편을 들어 거절한다. 이에 원한을 품은 다람쥐는 아내의 충고도 듣지 않고 곤륜산의 백호산군(白虎山君)에게 거짓으로 소송장을 올리려 한다.


  • 계집 다람쥐는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된다고 충고하다가 남편으로부터 모욕을 당하고 분한 나머지 집을 나간다. 바른 판단을 위해 서대주를 잡아오게 한 백호산군은 그의 말을 들어보고 다람쥐가 허위로 고발하였음을 알게 된다. 이에 백호산군은 다람쥐를 귀양 보내고 서대주는 석방한다. 마음이 착한 서대주는 다람쥐를 불쌍히 여겨 같이 석방해 줄 것을 백호산군에게 간청한다. 이에 다람쥐도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사과하자 서대주는 황금을 주어 그를 돌려보낸다.


◇ 인물 소개


  • 남편 다람쥐 _ 가부장적 권위 의식에 젖어 무위도식하는 봉건적인 인물이다.


  • 계집 다람쥐 _ 사리를 분별할 줄 알며 가부장적인 권위 의식에 항거하는 인물로, 작가의 대변자이다.


  • 서대주(쥐) _ 근대 지향적이며 현실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인물이다.


  • 백호산군(호랑이) _ 권위적이기보다는 자신을 돌아보고 정의를 실천하는 절대적 존재이다.


작품 연구실


◇ 송사 소설로서의 '서동지전'


  • 송사 소설은 억울한 일을 관청에 호소하여 해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소설로, 사건의 발생과 해결이 '과제 부여'와 '과제 해결'의 수수께끼적 구조를 지닌다는 점, 송사 사건의 결말이 작품의 주제 의식으로 부각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 송사 소설의 주요한 내용은 송사의 발생 원인과 갈등 양상에서 잘 드러나는데, 이는 ① 신분 갈등, ②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③ 향촌 사회의 계층 갈등, ④ 권력의 횡포와 저항 의지와의 갈등, ⑤ 관습·규범의 억압과 극복 의지와의 갈등 등으로 크게 유형화할 수 있다.


  • '서동지전'은 ③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다람쥐의 구걸에 대한 서대주의 거절과 이에 앙심을 품은 다람쥐의 송사, 그리고 백호산군의 판결로 인한 권선징악(勸善懲惡)의 주제를 드러내는 형식이 전형적인 송사 소설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송사 소설의 구조는 고전 소설의 우연성을 방지하고 작품에 필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 '서동지전'에서 추구하는 새로운 인간상


  • 서대주는 간악한 다람쥐를 용서하는 후덕한 인물이면서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뇌물이라는 부당한 수단까지도 이용하는 현실적인 인물이다. 이는 조선 후기에 새로이 등장한 상공인 계층을 형상화한 것으로, 기존의 봉건적 관습, 제도, 윤리를 거부하고 자신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현세적 이익과 권익을 추구하는 근대 지향적 인물형을 표상하고 있다.


  • 반면, 남편 다람쥐는 허위의식에 젖어 열심히 일하기보다는 남에게 의존하여 살아가려는 나태하고 무능한 인물이며, 아내의 올바른 충고에도 귀 기울이지 않는 가부장적이고 전근대적인 인물이다. 이러한 두 대립적 인물형에서 전자를 긍정적 인물로, 후자를 부정적 인물로 형상화하여 부정적 인물을 비판하고 징치(懲治)하는 데서 전통적 봉건 윤리 체제를 거부하고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작가 의식을 읽을 수 있다.


◇ '서동지전'의 주제와 작가 의식


  • '서동지전'은 쥐들의 송사 사건을 소재로 하여 선악형 인물의 대립을 통해 권선징악(勸善徵惡)과 사필귀정(事必歸正)의 교훈성을 강하게 드러낸다. 인간 사회에도 간악한 다람쥐와 같이 배은망덕한 인간형이 있음을 경계하여 다람쥐와 같은 부류의 인간들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 인물로 제시된 서대주를 통해서 봉건 체제의 인습을 거부하고 근대 지향적인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남편 다람쥐와 계집 다람쥐의 다툼을 통해 가부장적 권위에 대한 비판 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


  • 특히 계집 다람쥐가 남편 다람쥐에게 항거하고 급기야 집을 뛰쳐나가는 부분에서는 여필종부(女必從夫)라는 봉건적인 사고방식과 전통적 윤리관에 대해 비판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당대 하급 관리로 표상되는 오소리와 너구리를 통해 뇌물을 요구하는 속물적인 태도와 타락상을 비판하고 정치적 현실이 지닌 모순을 풍자하고자 한다.


반응형